인터넷을 사용하다가 연결이 끊기거나 느려질 때가 있는데, 이때 핑(PING) 테스트를 통해 인터넷이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는지 검사할 수 있다.
Ping 이란?
Pack InterNet Groper의 약자로 서로 다른 호스트 사이에 접근 여부를 조사 할 수 있는 진단도구이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PC에서 서버에 정보를 보낸 뒤에 다시 그정보가 사용자 PC로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CMD를 이용한 (핑)Ping 테스트
window 검색에 cmd또는명령 프롬프트를 검색하거나 [ window + R ] 을 눌러서 실행창을 띄우고 거기에 cmd를 입력해서 cmd 창을 띄운다.
Ping 명령어는 window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있다.
Ping 명령어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ping -옵션 게이트웨이 주소값 " 으로 입력하면 된다.
Ping의 옵션은 "ping"이라고 치면 아래와 같이 PING 옵션을 볼 수 있다.
처음에는 내 컴퓨터 랜(LAN)카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127.0.0.1로 핑(Ping) 테스트를 해본다.
127.0.0.1로 데이터를 보내면 다시 자신의 네트워크로 입력이 돌아온다하여 루프백 주소(Loopback)라고 하는데,
입출력 기능을 테스트 하기 위한 가상의 주소이다. 하기와 같이 ping 127.0.0.1을 입력한다.
※ 랜(LAN)카드 ip 주소는 동일하게 127.0.0.1 이다.
위와 같이 127.0.0.1을 Ping을 보냈을 때,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면 랜카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랜카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면, 이제 공유기의 연결상태를 점검할 차례이다.
공유기 주소는 게이트웨이 주소값으로 점검을 하는데, cmd에서 "ipconfig"를 입력하면 하기와 같이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알 수 있다.
옵션 없이 "Ping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입력하게 되면 하기와 같이 게이트웨이까지의 패킷을 주고 패킷을 주고 받은 정보가 나온다. 옵션은 필요에 따라 추가해서 입력하면 된다.
"인터넷 연결에 성공 했을 경우"의 이미지를 보면 패킷의 크기가 32바이트로 전송이 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인터넷 연결이 끊겼을 경우"의 이미지처럼 대상 호스트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이외에도 "요청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라는 문구도 나올 수 있는데, 이는 신호가 약해서 패킷정보를 불안정하게 주고 받아 발생하는 문제일 수 있고, 선로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일 수 있다.
'개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지식] HTTP 에러 코드 정리 (35) | 2023.01.20 |
---|---|
[개발 지식] window 방화벽(Firewall) - 인바운드(Inbound), 아웃바운드(Outbound) 개념 정리 (2) | 2022.12.17 |
[개발지식] 윈도우(Window)10 cmd 언어 설정 변경 (0) | 2022.12.15 |
[개발지식]HTTP란? -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0) | 2021.11.04 |
[개발지식]인터넷이란? - 인터넷 작동 방법 (2) | 202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