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window를 한글로 설치하면 cmd도 기본적으로 한글 언어로 설정이 되고, 영문으로 설치하면 cmd도 영문으로 나온다.
cmd를 이용하면서 한글이 익숙하면 영문, 영문이 익숙하면 한글로 변경할 수 있다.
영문으로 변경할 때는 chcp 437, 한글로 변경할 때는 chcp 949 로 변경할 수 있다.
하기와 같이 cmd에 chcp를 입력하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코드를 알 수 있다. (chcp 949 한글)
728x90
반응형
'개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지식] HTTP 에러 코드 정리 (35) | 2023.01.20 |
---|---|
[개발 지식] window 방화벽(Firewall) - 인바운드(Inbound), 아웃바운드(Outbound) 개념 정리 (2) | 2022.12.17 |
[개발지식] CMD 핑(Ping) 테스트 - 인터넷 연결 진단 (인터넷 접속 테스트) (6) | 2022.12.13 |
[개발지식]HTTP란? -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0) | 2021.11.04 |
[개발지식]인터넷이란? - 인터넷 작동 방법 (2) | 202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