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개발 지식] Window Server 2016 평가판 유예기간 연장 (초기화)

    Window Server 평가판 라이센스는 기본적으로 180일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라이센스 기간이 만료되면 시스템는 부팅 후, 약 1시간 후에 시스템이 자동으로 종료된다. 이럴 경우에는 라이센스 유예기간을 초기화하여, 초기화한 날 이후로 180일을 더 사용할 수 있다. 평가판 라이센스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명령 프롬프트(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준다. slmgr.vbs -rearm 명령어를 명령 프롬프트(CMD)에 입력해 준다. 그리고 시스템 리부팅(shutdown -r) 후, 다시 배경 화면을 보면 유예기간이 연장된 것을 볼 수 있다.

    [개발 지식] PID 찾기, Window Port 종료 시키기(Port Kill)

    인텔리제이를 사용하다 보면 가끔 아래와 같이 해당 포트 번호는 이미 사용 중이라서 서버를 실행 할 수 없다는 글을 볼 때가 있다. Description: Web server failed to start. Port 8080 was already in use. 이럴 때는 해당 포트를 종료 즉, prot kill을 해주고 다시 서버를 실행하면 된다. 먼저, port kill을 하기 위해선 해당 포트의 PID를 알고 있어야 가능한데, Window(시작) + R를 누른 후에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준다. netstat -a -o를 입력하면 현재 어떤 포트가 어떤 PID로 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로컬 주소에 내가 찾는 포트(8080)가 나왔는데, 계속 조회중이라면 ctrl + c를 눌러서 조회를 강제..

    [개발지식] Chat GPT 회원 가입 및 사용 방법

    요즘 Chat GPT라는 AI 프로그램이 상당한 화제가 되고 있다. Chat GPT는 대화형 인공지능으로 질문을 하면 답변을 하는데, 지금까지 필자가 경험했던 AI와는 다르게 진짜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한다. 또한 한글 지원이 되어 한글로 질문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간단한 회원가입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1. 회원 가입 ChatGPT: Optimizing Language Models for Dialogue We’ve trained a model called ChatGPT which interacts in a conversational way. The dialogue format makes it possible for ChatGPT to answer followup questi..

    [React] Hooks useState() 란?

    1. useState()란? 리액트 컴포넌트에서 동적인 값을 상태(State)라고 부르고,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컴포넌트 상태 값이 동적으로 바뀔 때는 상태관리가 필요하다. 리액트 훅이 나오기 전까지는 클래스 기반의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상태값을 관리하였는데, 이렇게 관리를 하면 유지보수에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리액트 16.8 버전 이후로 훅(Hooks)이라는 기능이 도입되면서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이때 사용하는 함수가 useState() 함수다. 2. useState() 사용법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Count(){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

    [JAVA] JVM(JAVA Virtual Machine) 이란?

    1. JVM 이란? JVM은 JAVA Virtual Machine, 자바 가상 머신의 약자이며, JAVA는 하드웨어가 아닌 JVM을 통해 동작하며, JVM은 OS와 JAVA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한다. JVM은 자바 바이트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준다. 이를 통해 JAVA는 애플리케이션은 OS에 관계없이,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JVM은 메모리를 관리하고 Garbage Collection실행을 통해 메모리를 최적화한다. 2. JVM 구조 2 - 1. 자바 메모리 구조 (Runtime Data Area) JAVA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OS에서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으로, 힙(Heap)과 메서드(Method)는 전체 공유자원으로 분류되고 스택(Stack), ..

    [JAVA] 자바(JAVA)란?

    1. 자바(JAVA)의 개념 자바(JAVA)는 1995년에 미국의 '썬마이크로시스템즈'라는 회사에서 개발한 객체지향 언어 중 하나이며, 운영체제에 독립적이라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즉, 자바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실행 가능하다. 때문에 운영체제에 따라 프로그램을 변경하지 않아도 실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객체지향 언어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 부분을 제외시킴으로써 표현이 간결해지고, 비교적 배우기 쉬운 언어이다. 2. 자바(JAVA)의 장단점 2-1. 자바(JAVA)의 장점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OP: Object Oriented Programming) 객체별로 코드를 작성하고 목적에 맞는 객체와 객체를 조합하여 전체 프로그램을 완성하는 프로그램 설계 방..